요즘 배당주의 인기가 많은 것 같다
이전 포스팅들에서 일드맥스를 주로 다루었는데,
여러 자산운용사에서 비슷한 상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오늘은 대표적인 배당주들을 비교해보려고 한다
1. JEPQ, JEPI
JEPQ, JEPI는 정말 유명한 JP Morgan이 운용하는 상품이다
커버드콜 상품 중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 받으며
사실 이미 모든 검증이 끝났다고 봐도 되는 대표적인 상품들이다
| 구분 | JEPI | JEPQ |
|---|---|---|
| 기초지수 | S&P 500 | Nasdaq 100 |
| 포트폴리오 성격 | 가치주·배당주 중심 | 성장주·기술주 중심 |
| 변동성 | 낮음 | 높음 |
| 평균 배당률(분배율) | 약 7~9% | 약 9~12% |
| 지수 상승시 수익률 | 제한적 | JEPI보다 높음(기술주 상승 반영) |
| 지수 하락시 방어력 | 강함 | 상대적으로 약함 |
| 추천 투자자 | 안정적인 인컴 추구형 | 인컴 + 성장성 모두 노리는 적극형 |
둘 다 분배율은 최근 나오는 초고배당 상품에 비하면
10% 수준으로 낮지만(?)
꾸준히 주가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까지도 보이고 있다
확실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JEPQ와 JEPI의 모든 기간 주가 차트
장기적으로 투자하기에 가장 적합한 상품이 아닐까
2. Yieldmax (일드맥스)
jepi나 jepq 정도를 제외하면
시장에서 가장 크게 인기를 끌고 있는 고배당주는
단연 일드맥스 상품들 같다
콜옵션을 팔아 얻는 프리미엄(옵션료)을 분배금으로 지급한다
상승 가능성을 일부 포기하고
그 대가로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구조다
최근 일드맥스의 대부분의 상품이 월배당 -> 주배당으로 전환되었다
기존의 주배당 상품이 ulty같은 ETF의 ETF 형태 였다면
이제는 cony, tsly, nvdy 같은 개별주식 커버드콜도
매주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선택의 폭이 넓어 진 느낌이다
| 티커 | 기초자산 | 분배주기 | 최근 배당률(연환산 추정) | 주요 특징 |
|---|---|---|---|---|
| TSLY | Tesla | 주 | 약 60~100% | 테슬라 변동성에 직접 노출, 가장 대표적인 고배당 상품 |
| MSTY | 스트레티지 | 주 | 약 70~120% | 비트코인과 동행, 암호화폐 시장 사이클 민감 |
| ULTY | 분산형 | 주 | 약 80~100% | 여러 종목 분산, 변동성 완화, 주간 분배 중심 |
보다시피 정말 높은 분배율을 토대로
빠르게 원금 회수를 하고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자산 증식을 노리거나
생활비에 보태는 등 다양한 활용법이 있겠다
특징요약
- 장점: 옵션 프리미엄 극대화, 초고배당 실현 가능
- 단점: 단일주 리스크, 상승 회복력 제한
- 요약: “커버드콜 고배당의 원조이자, 변동성에 베팅하는 인컴 전략”
일드맥스에 관해서는 이전 포스팅들에 자세히 적어 두었으니
오늘은 조금 다른 상품들을 소개해보려고 한다
3. REX Shares (렉스셰어즈)
REX Shares는
‘대안 전략(Alternative-strategy) ETF/ETN’에 강한 자산운용사다
특히 옵션을 통해 인컴을 만드는 ETF 전략을 최근에 강화했
커버드콜 (Covered Call) 전략이나 ‘일부 커버드콜 + 주가 노출’ 구조를 사용한다
배당 전략 핵심은
기초주식 또는 지수에 노출시키면서
커버드콜 전략 실행 → 프리미엄 수익을 인컴으로 지급한다
여기까지는 일드맥스와 동일한데
레버리지 또는 비율 노출이 포함되면서
차별점이 생겼다
즉, 포트폴리오 절반은
순수한 상승 참여(1.05~1.50배 레버리지 노출) 로 성장성을 키우고
나머지 절반은 커버드콜 매도 전략으로 주간(Weekly)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다
목표 레버리지 비율은 1.25배
요약하자면면
1.절반 포트폴리오는 무제한 상승참여(Uncapped Upside)
→ 포트폴리오의 50%는 옵션을 걸지 않고 순수 주식 노출 상태로 두어
상승 시 수익을 그대로 반영한다.
2. 나머지 절반은 커버드콜을 통한 주간 수익(Weekly Income)
→ 남은 50%는 콜옵션을 매도해 매주 옵션 프리미엄을 얻는다
3.성장(Growth)과 인컴(Income)을 모두 잡는 설계
→ 절반은 성장, 절반은 안정적 인컴.
→ 상승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꾸준한 현금흐름도 노리는 하이브리드 구조
일드맥스의 상승분을 따라가지 못하던 문제를
레버리지를 활용해
어느정도 해결하는 모습이다
다만 하락장에서 조금 더 위험해 보인다
실제론 어땠을까?
상승장에서 확실히 주가 상승을 잘 따라가는 모습이다
코인베이스를 기초로 하는 상품끼리 비교해보았다
| 구분 | 6월12일 | 7월18일 | 상승폭($) | 상승률(%) |
|---|---|---|---|---|
| COII | 23.37 | 34.82 | +11.45 | +49.0% |
| CONY | 7.69 | 10.32 | +2.63 | +34.2% |
의외로 하락장에서도 비슷하게 하락하는 모습이다
| 구분 | 7월18일 | 8월5 | 하락폭($) | 하락률(%) |
|---|---|---|---|---|
| COII | 34.82 | 22.95 | -11.87 | -34.1% |
| CONY | 10.32 | 6.98 | -3.34 | -32.4% |
레버리지 노출을 1.05~1.5배 사이에서 조정한다고 했는데
하락장에서는 레버리지 비율을 확 낮추는 모양이다
아직 검증기간이 짧아서 결론낼 수 없지만
이정도 퍼포먼스를 유지해준다면 일드맥스를 고집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다만 아직 배당이 들쭉날쭉 하는 모습을 보여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4. GraniteShares (그래니트셰어즈)
GraniteShares의 YieldBOOST™ 시리즈는
커버드콜 + 풋/콜 스프레드 + 레버리지 구조로
기존 커버드콜보다 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옵션 매도 전략을 쓴다
즉, 기초자산의 방향성과 옵션 프리미엄을 동시에 활용해
주간 초고배당을 노리는 하이브리드 구조다
| 티커 | 기초자산 | 분배주기 | 최근 배당률(연환산 추정) | 주요 특징 |
|---|---|---|---|---|
| TSYY | 테슬라 | 주(Weekly) | 약 130~170% | 테슬라 기반 초공격형, TSLY보다 더 높은 레버리지 노출 |
| NVYY | 엔비디아 | 주 | 약 80~100% | 엔비디아 기반 옵션 인컴, AI 모멘텀 반영 |
| COYY | 코인베이 | 주 | 약 40~60% | 지수형 인컴 ETF, 상대적으로 안정적 |

마찬가지로 코인베이스를 기초로 하는 상품으로 설명하자면
COIN(코인베이스) 주식의 2배 레버리지 성과를 추종하는 ETF에
옵션 매도 전략을 결합하여
두 배(200%) 수준의 옵션 인컴을 창출하려는 ETF
| 구성 요소 | 설명 |
|---|---|
| 기초자산 | 코인베이스 글로벌(NASDAQ: COIN) |
| 운용 전략 | 레버리지 ETF(2x Long COIN Daily ETF)에 대해 풋옵션(Put Options) 매도 |
| 1차 목표 | 옵션 매도로 발생한 인컴을 2배(200%) 수준으로 극대화 |
| 2차 목표 | 기초 레버리지 ETF의 상승분에도 일정 부분 노출 (단, 상승에 캡 존재) |
| 리스크 관리 | 필요 시 하방 보호(Put Protection) 도입 가능 — 인컴은 줄지만 손실 완화 효과 |
렉스셰어즈가 절반을 1.05~1.5배 레버리지로 노출시킨다면
그래니트셰어즈는 화끈하게
100%를 2배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인컴(배당)은 높지만 리스크도 두 배로 커진 구조

확실히 배당이 크긴 하다
거의 매주 3% 정도를 배당으로 지급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도 연 150% 이상 배당을 지급한다고 공지하고 있다
8월에 상장한 후

주가는 약 39% 하락하였지만
지금까지 받은 배당을 모두 더하면 8.82달러..
현재까지는 무승부다
2배 레버리지 노출이긴 하지만
2배 레버리지 ETF를 기초로 한 옵션매도형 인컴 ETF
쉽게 말해 커버드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승이 막히는 것이다
(렉스셰어즈는 절반만 커버드콜, 나머지 절반은 일반 주식 구조임)
| 상황 | 일반 2x 레버리지 ETF | COYY |
|---|---|---|
| 상승장 | COIN이 +20%면 → ETF는 +40% | 옵션 매도로 인해 수익 상한(캡) 발생 → +20~25% 수준에 그침 |
| 횡보장 | 변화 없음 | 옵션 프리미엄 수익 확보 → 배당으로 이익 가능 |
| 하락장 | COIN이 -20%면 → ETF는 -40% | 프리미엄이 방어 일부 가능, 하지만 손실 여전 |
대신 배당이 확실히 높으니 장단점이 있는 것 같다
5. 결론
적당한 배당을 받으면 주가도 하락하지 않는
(적어도 횡보는 해주는)
그런 안정성을 원한다면
JEPI, JEPQ, QYLD 같은 상품을 추천한다
월 1%는 배당으로 보이지 않는다면
매주 1% 정도 나오는 일드맥스를 사보자
대신 어느정도 주가가 녹는 구조를 이해한 뒤에 매수하자
좀 더 화끈하게 배당을 받고싶다면
그레닛셰어즈를 선택해보자
매주 3%라는 어마어마한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물론 주가도 녹겠지만 배당으로 꽤 커버가 되는 모양새다
일드맥스랑 그래니트셰어즈 사이에서 고민이 된다면
렉스셰어즈를 선택하자
그냥 적당히 반반 섞인 느낌이다
커버드콜은 배당성장주가 될 수 없다
성장 대신 높은 현금흐름을 통해
다른 선택이 가능하게 해주는 상품 정도로 이해하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초보 투자자는 JEPI부터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처음이시면 안전한 JEPI류를 추천드립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2가지가 궁금합니다.
1. 이러한 하이리턴 커버드콜은 보통 청산을 언제하고(운용기간?) 청산시 기준주가를 전부 돌려주게될까요?
2. QQQI는 어떻게 보실까요?
청산 관련해서는 아래 글에 정리해두었고
http://hoontax.kr/고배당유지/
QQQI는 다음 포스팅에 다루어 볼게요!
감사합니다